성경지식의 보물창고 204

최후의 심판에 대한 이해

1. 최후의 심판의 날피조물의 은밀한 것을 하나님의 공의로 심판하시는 날을 말한다(롬2:16;행17:3). 2. 심판날을 정하신 목적 1) 악하고 불순종하는 자들의 영벌에서 하나님의 공의로우신 영광을 나타내시기 위함이다(살후1:8,9). 2) 택하심을 입은 자들의 영원한 구원에서 하나님의 자비로우신 영광을 나타내시기 위함이다(살후1:10). 3. 심판날의 성질 1) 사람들에게 심판날이 있을 것이라고 말씀하신 것은 사람의 범죄를 막고, 고난에 처한 경건한 자들을 더 크게 위로하시기 위함이다      (벧후3:11,14;고후5:10,11;살후1:5-7;눅21:7-28;롬8:23-28) 2) 사람들에게 심판의 날을 알려주지 않으신 것은 그 때를 모름으로 인해서 세상적 안일함을 떨쳐 버려 항상 주의하고, 준비가..

스룹바벨, 에스라, 그리고 느헤미야로 이어지는 세 번의 귀환

고레스 칙령 BC 538 에스라 1장 예루살렘에 성전을 재건하라1. 세스비잘/스룹바벨 (B.C. 538, 스 1-6장)      에스더 왕비 (B.C. 478, 에스더2. 에스라(B. C. 458, 스 7-10장)      아닥사스다 칙령 BC 445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라3. 느헤미야(B. C.445 , 느 1: 1-7 : 3) 스룹바벨, 에스라, 그리고 느헤미야로 이어지는 세 번의 귀환은 서로 다른 재건축계획, 즉 성전, 공동체, 그리고 성벽의 재건축으로 끝을 맺는다. 이 세 번은 다같이 하나의 진행과정을 거친다.1. 하나님의 촉구를 받은 페르시아 왕의 재가에 의해 귀환이 시작되고, 이어서2. 재건축에 대한 끈질긴 반대에 직면하며,3.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반대를 극복한다.포로 후기시대 세 사람의 위..

성막(언약궤)의 이동 경로

BC1490 모세가 성막을 세움BC1444 여호수아가 성막을 길갈에서 실로로 옮김BC1047 다윗이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들여옴BC1004 솔로몬의 성전 완공      성막의 이동 경로* 광야   - 모세의 인도 하에 출애굽 2년째에 세운 곳.    둘째 해 첫째 달 곧 그 달 첫째 날에 성막이 세워지니라. (출40:17)* 실로   - 여호수아의 인도 하에 가나안 땅에 정착한 이스라엘이 성막을 세운 곳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이 실로에 함께 모여 거기에 회중의 성막(tabernacle of the congregation)을 세웠더라. 그 땅이 그들 앞에서 정복되었으나 (수18:1)   - BC 1116까지 330년간/ 엘리 제사장 시절 블레셋에 법궤를 빼앗기기까지.   - 실로는 여호수아가 백성들..

모세의 생애

모세의 생애>I. 출생 (B.C. 1527년)레위 지파 고핫 계열의 자손 (출 2:1)아므람과 요게벳의 아들 (출 6:20)미리암과 아론의 동생 (대상 6:3)II. 유년기갈대 사이에 숨겨짐 (출 2:3)애굽 공주의 양자가 됨 (출 2:4-10)III. 청년기애굽의 훌륭한 교육을 받음 (행 7:22)이스라엘인이란 자의식 지님 (히 11:25)애굽인 살해 (출 2:11,12)동족에게 거부당함 (출 2:13,14)미디안 땅으로 도주 (출 2:15)IV. 미디안 광야 생활 (B.C. 1487- 1447년)제사장 이드로의 집에거주 (출 2:16-21)십보라와 결혼, 아들 게르솜과 엘레에셀을 낳음 (출 2:21,22)호렙 산에서 소명받음 (출 3:1- 4:16)V. 애굽 귀환 (B.C. 1447년)이스라엘 백성의..

모세 오경 주요 내용 도표

모세 오경 주요 내용 도표 - 오경의 명칭과 주제 - 오경에 나오는 언약과 성취의 내용- 출애굽기의 10가지 재앙의 의미와 유형- 시내산 언약과 모압 언약의 전체적 비교- 신 . 구약 제사의 비교 - 제사의 유형들- 레위기에 나오는 정결한 음식과 부정한 음식들 - 이스라엘의 종교 절기들- 광야에서의 이스라엘의 여정(진행과 정지)   1. 오경의 명칭과 주제한글성경ⅬⅩⅩ/ 라틴역라틴역의 명칭과 의미히브리 명칭과 의미신학적 주제창세기Genesis(인류와 유대민족)의 기원, 혹 시작베레쉬트 ; 태초에백성의 선택출애굽기Exodus(애굽을 떠남)쉐모트 ; 이름들백성의 구속레위기Leviticus(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의 책와이크라 ; 그리고 그가 불렀다백성의 성경민수기Numbers(이스라엘 백성의) 계수(計數)데바림..

느헤미야, 에스라, 포로귀환 시대, 도표와 연대를 한 눈에 바라보기

포로 귀환 시대 전체 관찰 연대: B.C. 538-404 본문: 스 1:1-10:44; (에스더); 느 1:1-13:31 주제: 유대인들의 예루살렘 귀환 개요남 유다를 정복한 신 바벨론은 느부갓네살이 통치하던 시대만 반짝 힘을 발했고, 그 이후 급격히 쇄락하여갔다. 페르시아 만 동편의 작은 나라 페르시아(바사)는 고레스 왕의 재위 중에 종주국인 메대와 바벨론까지 정복하여, 고대 근동의 새 주인이 된 고레스는 속 국민들에게 관용정책을 펼쳤다. 고레스의 칙령(스 1:2-4)으로 유다 인들이 자국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유다 인들은 세 번에 걸쳐 귀환하는데, 먼저 BC 538년에 스룹바벨총독의 지도하에 4만 2천 여명의 유다 인들이 예루살렘으로 귀환했다. 유다 인들은 대적들의 조직적인 반대에도 불구하고 ..

레위 자손의 계보

레위 자손의 계보   레위자손은 다른 지파와는 달리 계수 할 때도 구분이 된다. 다른 지파의 계수를 할 때 세는 인원은 스무살 이상부터 계수되었지만 레위인은 태어나서 한 달 째부터 계수가 된다. 이는 다른 지파가 싸울 수 있는 군대의 개념이라면 레위지파는 구별되어 성막을 관리하고 지키는 일을 하기 때문이었다. 레위지파의 족보는 다음과 같다. 레위로부터 게르손, 고핫, 므라리가 나왔다. 게르손의 아들은 립니와 시므리 / 고핫의 아들들은 아므람과 이스할과 헤브론과 웃시엘 / 므라리의 아들은 말리와 무시이다.이중 고핫의 아들 아므람에게서 아론과 모세가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레위 지파의 계수가 시작되고 배치 되는 곳 그리고 역할에 대하여 말씀하신다. 이는 다음과 같다.  게르손>  후손 : 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