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지식의 보물창고/성경 요약 69

시편 장별 요점정리

시편 장별 요점정리 시편 요약 시편은 제2 성전시대(스룹바벨 성전시대)의 찬송가였다. 시편을 다섯가지로 구분하여 나눌 수 있다. 하나님께 도움을 요청하는 탄원시, 공동체나 개인이 부르는 찬양이 담긴 찬양시, 하나님의 왕권이나 이스라엘의 왕을 찬양하는 제왕시, 교훈과 지혜를 가르치는 지혜시, 성전에서 드리는 예배를 배경으로 하는 예배시로 나눌 수 있다. 시편은 모두 5권으로 편집되어 있다. 제1권은 1편-41편까지, 제2권은 42편-72편까지, 제3권은 73편-89편까지, 제4권은 90편-106편까지, 제5권은 107편-150편까지 다섯권으로 세분할 수 있다. 시편은 모세에서 베벨론 포로 귀환까지 1000여년의 세월동안 지은 것으로 그중에 다윗의 시편이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시편에 나타난 여려가지 ..

욥기 장별 요점정리

욥기 장별 요점정리 욥기 요약 욥기의 주제는 의인의 고난에 대한 문제이며 배경은 아브라함이 살았던 시대로 구분할 수 있다. 문학적 장르는 희극에 가까우며 작자 미상의 성경책이다. 또한 인물들의 대사가 어렵고 각각의 등장인물의 말이 옳은 것처럼 보인다. 욥기의 기록된 연대는 약 4000여년 전부터 구전되어 오던 이야기를 1500년이 지난 바벨론 포로시대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욥은 온전하고 정직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악에서 떠난 자라는 평가를 받던 사람이었다. 그렇게 성실하게 살아가고 있었던 사람에게 어느 날 감당하기 어려운 고난이 찾아오게 된다. 욥이 당했던 고난은 네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재물을 잃어버린 고난, 자녀를 잃은 고난, 건강을 잃은 고난, 친구들로부터 정죄 받는 고난이 그것이다...

에스더 장별 요점정리

에스더 장별 요점정리 에스더 요약 에스더서는 포로 기간 중에 유대인들이 겪은 위기를 보여주며 하나님께서 그 위기를 기회로 인도하신 것을 보여주고 있다. 에스더의 일생을 보면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심을 볼 수 있다. 슬픔이 변하여 기쁨이 되고 애통이 변하여 춤이 되게 하신 하나님의 은총의 섭리를 보여주신 것이다. 에스더가 왕후로 있었던 페르시아 왕조의 흐름을 보면 다음과 같다. 고레스 – 캄비세스2세 – 스메르디스 – 다리오히스타페스(다리우스) - 크레스크세스(아하수에로) - 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 - 다리오3세 여기에서 고레스는 이스라엘의 귀환을 명령했고, 다리우스 때는 학개와 스가랴가 활동했었다. 다리우스 이후 아하수에로 시대에..

느헤미야 장별 요점정리

느헤미야 장별 요점정리 느헤미야 요약 느헤미야의 뜻은 ‘위로하시는 여호와’, ‘여호와는 위로하신다’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느헤미야의 직업은 포로로 잡혀간 페르시아왕 아닥사스다의 술 맡은 관원장이었다. 그는 왕과 매우 친밀했으며 신임받는 사람이었다. 그는 페르시아에서 포로된 사람이지만 안정된 직장과 안정된 삶이 보장된 사람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다 동포들을 생각해서 귀환했던 사람이었다. 그는 편안한 현실에 만족하지 않고 귀환 공동체를 이끌기 위해 험난한 길을 택한 사람이었다. 또한 먼저 귀환했던 에스라의 개혁을 돕기 위해 돌아온 사람이었다. 느헤이미야 인품을 성경을 통해 바라볼 수 있는데 그는 신중한 사람이었고, 신뢰받는 사람이었으며, 쉬지 않고 기도하는 사람이었다. 또한 심지가 견고했으며 검소하고..

에스라 장별 요점정리

에스라 장별 요점정리 에스라 요약 에스라는 대제사장 아론의 16대손으로서 율법에 익숙한 학사이자 제사장이었다. 그는 하나님의 율법을 연구하고 행하고 가르치겠다는 사명을 가슴에 품고 제2차로 예루살렘에 귀환한다. 에스라는 1차 귀환자들보다 9년 늦게 예루살렘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그 뒤 5년이 지나서 마지막으로 느헤미야가 귀환하게 되었다. 1차 귀환자들의 인솔자는 스룹바벨이었고 그는 성벽을 만들어 예루살렘이 살만한 곳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2차 귀환에서 에스라서 성경을 가르치기 위해 모든 것을 내려놓고 귀환하였다. 에스라는 1차 귀환자들이 이방 여자들과 결혼한 사실을 알게 되어 모든 이방 여자들을 추방시키게 된다. 성경에는 없지만 추방당한 여인들의 종족이 유다를 침공하여 전쟁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

역대하 장별 요점정리

역대하 장별 요점정리 역대하 요약 히브리 성경에는 역대상하서가 역대기 한 권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을 쓴 것은 바벨론에서 귀환하여 민족중흥을 위하여 역사를 가르치고 또 다윗과 솔로몬 시대처럼 그러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기술되었다. 또 정상적인 제도를 회복하여 선택받은 민족의 영적인 삶을 지도하기 위해서 기록되었다. 역대하서는 솔로몬의 이야기로 시작해서 유다 열왕들의 이야기와 바벨론포로를 거쳐서 고레스 왕의 칙령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특히 솔로몬의 성전 건축과정이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본서에는 다른 사람의 기록을 인용한 부분이 있는데 사무엘의 글, 나단의 글, 갓의 글, 잇도의 묵시책, 이사야의 묵시책, 야살의 책에서 인용하였다. 장 주요 내용 및 요점 정리 1 ◈ 솔로몬 •솔로몬이 일천번제를 ..

역대상 장별 요점정리

역대상 장별 요점정리 역대상 요약 히브리 성경에는 역대상하서가 역대기 한 권으로 되어 있다. 이 책을 쓴 것은 바벨론에서 귀환하여 민족중흥을 위하여 역사를 가르치고 또 정상적인 제도를 회복하여 선택받은 민족의 영적인 삶을 지도하기 위해서였다. 역대상서는 아담에서 출발해서 사울 왕가의 몰락, 다윗왕의 이야기 그리고 솔로몬이 등극하는 데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본서는 다윗과 솔로몬에 대한 기록을 세밀하게 묘사했으며 다윗과 솔로몬의 타락에 대한 부분은 삭제하고 기록하였다. 본서에는 다른 사람의 기록을 인용한 부분이 있는데 사무엘의 글, 나단의 글, 갓의 글, 잇도의 묵시책, 이사야의 묵시책, 야살의 책에서 인용하였다. 장 주요 내용 및 요점 정리 1 ◈ 족보 •아담에서 아브라함까지 이르는 이스라엘의 계보..

열왕기하 장별 요점정리

열왕기하 장별 요점정리 열왕기하 요약 열왕기하에서는 북이스라엘 남유다가 하나님을 외면하고 우상을 섬기면서 멸망으로 달려가는 가운데 그들을 돌이키시려는 하나님의 노력을 볼 수 있다. 하나님께서 엘리야에 이어 엘리사 선지자를 보내시고 또 많은 선지자들을 보내어 책망하기도 하시고 달래기도 하시지만 이스라엘은 언제나 타락의 결과만 만들어 냈다. 그리고 돌아오라는 하나님의 부탁을 끝내 거부했던 북이스라엘은 앗수르 제국에 멸망했고, 남유다 역시 결국 바벨론 제국에 의해 망하게 되어 포로로 끌려가게 되었다. 열왕기하에서는 엘리야의 승천과 엘리사의 사역이 중점 소개되었고, 오므리 왕조의 몰락, 그리고 예후 왕조가 시작되는 장면이 기록되었다. 또한 엘리야와 엘리사 시대는 극악의 어둠과 악한 시대라는 것을 보여주면서 하나..

열왕기상 장별 요점정리

열왕기상 장별 요점정리 열왕기상 요약 열왕기라는 말은 왕들의 이야기가 나열된 책이라는 뜻이다. 열왕기상에는 다윗의 죽음과 그 왕위를 물려받는 솔로몬 이야기가 기록되었다. 본서의 주요 내용은 다윗의 노년과 아도니야의 반역, 솔로몬의 등극과 성전 건축과 봉헌, 그리고 왕궁 건축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또 솔로몬의 사후에 남유다와 북이스라엘로 분열되는 과정을 기록하였고, 남북 왕조의 임금들과 그들의 치리 모습과 타락한 모습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역사순으로 기록하고 있다. 타락한 왕조에 대한 하나님의 징계의 모습이 실감나게 기록되어 있으며 각 왕조에 선지자들의 등장으로 하나님의 뜻을 전하는 모습도 기록되었다. 그리고 악한 시대에는 반드시 주의 종들이 등장하여 하나님의 뜻을 전하고 징계를 내리는 모습도 ..

사무엘하 장별 요점정리

사무엘하 장별 요점정리 사무엘하 요약 사무엘하는 다윗왕의 등극으로 시작하여 인구조사에 대한 징계로 끝을 맺고 있다. 본서는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으로서 어떻게 국가를 하나님의 공의로 통치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다윗은 이스라엘의 전체 왕이 아닌 유다 지파의 왕으로 시작하였다. 당시 이스라엘은 과도기 국가의 체제였고, 북쪽의 이스보셋왕과 남쪽의 다윗왕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통일을 위한 남북 전쟁이 있었으며 북쪽 지파들 전체의 동의를 얻어 통일왕국의 왕으로 추대되었다. 예루살렘을 수도로 정하고 하나님의 법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겨온 다윗은 하나님을 향한 깊은 신앙의 소유자였을 뿐만 아니라 나라 전체를 공의로 다스렸던 훌륭한 왕이었다. 또한, 밧세바 사건을 통해서 죄를 지었던 인간적인 모습도 보였지만 자신의 죄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