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73

만남, 그 이후 (누가복음 19장 7 - 10) 2022.12.11

2022.12.11 한주간의 말씀 요약 - 씀리뷰 40회 https://youtu.be/krk_sUgG3Wk 만남 그 이 후 누가복음 19장 7-10 만남, 그 이후 여리고의 세리장인 삭개오가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삭개오는 예수님을 만나고 난 이후 자신도 놀라고 모든 사람들이 놀랄 정도로 변화되었습니다. 그렇습니다. 예수님을 만나면 변합니다. 주님을만나고 변하지 않는 사람은 없습니다. 주님을 만나면 삶의 이유와 목적이 바뀌고 인생의 방향이 바뀝니다. 그러면 주님을 만난 그 이후 삭개오에게 어떤 변화가 있었습니까? 첫째, 즐거움을 갖게 되었다. 예수님께서 나무 위에 있는 삭개오를 바라보시고 삭개오야속히 내려오너라 내가 오늘 네 집에 유하여야 하겠다"라고 말씀하셨을 때 삭개오는 급히 내려와 즐거워하며 예수님..

빌립보서 2:1-11

빌립보서 2:1-11 (4/22) 너희 안에 이 마음을 품으라 곧 그리스도 예수의 마음이니 그는 근본 하나님의 본체시나 하나님과 동등됨을 취할 것으로 여기지 아니하시고(6) 고대 그리스·로마 사회에서 겸손은 미덕이 아니라 나약하고 비굴하고 수동적인 사람을 지칭한 표현이었고 그들은 명예와 평판을 중요한 가치로 여겼습니다. 겸손을 처음 가르친 분은 예수님이셨습니다. 예수님의 겸손은 그분이 마땅히 받으셔야 하는 모든 영광을 내려놓는 것이었고 종의 형체를 취하여 다른 사람을 섬기는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의 겸손은 비천한 십자가에서 죽기까지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부활하신 예수님의 이 겸손의 마음을 닮아가고 있는지요? 주님! 오늘도 주 예수의 겸손을 닮게 하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축복하며 기도합니다..

고린도후서 1:3-11

고린도후서 1:3-11 우리는 우리 자신이 사형 선고를 받은 줄 알았으니 이는 우리로 자기를 의지하지 말고 오직 죽은 자를 다시 살리시는 하나님만 의지하게 하심이라(9) 거짓말 중에 ‘괜찮아’라는 거짓말이 있습니다. ‘괜찮아’는 괜찮지 않으면서도 상대를 안심시키기 위해 하거나 내가 상처받지 않으려고 ‘괜찮아’라고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괜찮지 않은 상황에 처해 있더라도 거짓말이 아니라 진짜로 괜찮습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우리를 건지시는 하나님이 계시기 때문입니다. 혹시 절망의 끝에 서 계십니까. 그렇다면 절망의 끝에 서 계시는 하나님을 만날 시간입니다. 나의 끝이 하나님의 시작이기에 그래서 우리의 인생은 괜찮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주님! 오늘도 주님으로 인해 괜찮은 날이 되게 하소서! 예수님 이름..

사무엘상 17장 41-49 전쟁은 여호와께 속한 것.

오늘의 본문 (쉬운 성경)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 41 바로 그 때, 블레셋 사람 골리앗도 다윗에게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골리앗의 방패를 든 사람이 골리앗 앞에 있었습니다. 42 골리앗은 다윗을 바라보았습니다. 골리앗은 다윗이 살결이 불그스레하고 잘생긴 어린아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골리앗은 불쾌한 표정으로 다윗을 내려다보았습니다. 43 골리앗이 다윗에게 말했습니다. “막대기를 가지고 오다니 너는 내가 개인 줄 아느냐?” 골리앗은 자기 신들의 이름을 들먹이며 다윗을 저주하였습니다. 44 골리앗이 다윗에게 말했습니다. “이리 오너라. 내가 네 몸을 공중의 새와 들짐승들에게 먹이로 줄 것이다.” 45 다윗이 골리앗에게 말했습니다. “너는 나에게 칼과 큰 창과 작은 창을 가지고 나아오지만, 나는 만군의 여호와의..

사무엘상 17장 31-40 나를 건져 내시리이다.

오늘의 본문 (쉬운 성경) 사울앞에 선 다윗 31 어떤 사람들이 다윗이 한 말을 듣고 그 말을 사울에게 전했습니다. 그러자 사울은 사람을 보내어 다윗을 데려오게 하였습니다. 32 다윗이 사울에게 말했습니다. “용기를 잃은 사람이 있으면 안 됩니다. 왕의 종인 제가 나가서 저 블레셋 사람과 싸우겠습니다.” 33 사울이 대답했습니다. “너는 저 블레셋 사람과 싸울 수 없다. 너는 아직 어린아이일 뿐이지만, 골리앗은 젊었을 때부터 싸움을 많이 해 온 뛰어난 군인이다.” 34 그러나 다윗이 사울에게 말했습니다. “왕의 종인 저는 내 아버지의 양 떼를 지키던 사람입니다. 사자나 곰이 나타나서 양을 물어 가면, 35 저는 그놈을 공격하여 그 입에서 양을 구해 냈습니다. 그놈이 저를 공격하면, 저는 그놈의 턱을 잡고..

예수님의 생애 한 눈에 확 꿰뚫기

신약성경 예수님의 생애 한 눈에 확 꿰뚫기예수님의 생애를 정리하면서 공간적인 이동은 유대 예루살렘과 갈릴리 지역으로 이동을 중심으로 정리할 것이며 시간적인 흐름은 유월절을 중심으로 정리할 것이다. 1. 사생애 기간  1) 베들레헴에서 예수님이 탄생한다(눅2:4-7)  2) 애굽으로 피신한다(마2:14-15)  3) 갈릴리 나사렛으로 귀향(눅2:20-23) 2. 30세가 되면서 갈릴리에서 유대 지역으로 약50일 정도 이동하신다. 장거리 여행이시다(마3:13)1) 세례요한으로부터 세례를 받으심2) 40일 동안 금식 기도후 마귀에게 시험을 받으심3) 세례요한의 집회 현장에서 5명의 제자를 만나심(요한, 베드로 안드레 빌립, 나다나엘) 3. 유대지역(예루살렘에서 다시 갈릴리 지역으로 이동하심  1) 갈릴리 지역..

이스라엘 12지파의 가나안땅 분배 (1)

이스라엘의 12지파아브라함, 이삭, 야곱으로 이어지던 개인 혹은 가족 중심의 구속사가 창세기 말미에 이르러 야곱의 12아들을 근간으로 하는 선민 공동체 중심의 구속사로 발전하게 된다. 한편, 야곱은 두 아내 레아와 라헬 그리고 두 첩 빌하와 실바를 통해 모두 12명의 아들을 얻는다. 그리고 이 12아들은 훗날 선민 이스라엘을 형성하는 12지파의 시조가 된다. 이스라엘 12지파는 영적으로 신약 시대의 12사도에게로 계승되고, 마침내 새 하늘과 새 땅에서의 12기초석으로 연결된다(계 21:14). 이런 측면에서, 장차 이스라엘 12지파를 형성하게 될 야곱의 12아들은 하나님의 구속사가 펼쳐지는 일종의 못자리요, 섭리의 모처(母處)가 된다고 하겠다. 특별히, 야곱이 마지막 유언으로 남긴 예언(축복)은 이스라엘..

요한1서 장별 요점정리

요한1서 장별내용과 요점정리 요한1서 요약 사도 요한이 요한1서를 기록할 당시에는 여러 이단이 일어나고 있었고, 특히 영지주의 이단의 세력이 강해져서 예수님의 성육신 등을 부인하고 기독교 윤리를 파괴시키려고 시도하였다고 한다. 이에 요한은 그들의 잘못된 가르침을 반박하고 그리스도에 대한 바른 지식을 심어 주어 교회를 굳건히 세우고자 본서를 기록하였다. 요한1서는 하나님과의 참된 교제 속에서 사랑의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요한1서가 중심으로 가르치는 것은 참사랑이다. 참사랑은 어떤 것인가? 성도간의 교제이며 관계의 회복이며 사랑하는 것이다. 참사랑은 빛의 열매로서의 사랑이며 진리 안에서 사랑이며 하나님 사랑과 형제 사랑이다. 또한 참 사랑은 부끄러움과 두려움이 없는 사랑이며 행함과 진실로 열매 맺는 ..

베드로후서 장별 요점정리

베드로후서 장별내용과 요점정리 베드로후서 요약 베드로후서는 베드로전서에 이어 소아시아에 흩어져 있던 교회들에 보내는 사도 베드로의 두 번째 서신이다. 본서에는 사단의 궤계에서 비롯되는 교회나 성도들 내부의 문제를 다루며 배교와 교회 분열의 위기마저 초래하고 있는 거짓 교사들에 대한 엄중한 경계와 경고를 하고 있다. 1장에서는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나누는 문안에 이어, 그리스도의 재림과 천국에 대한 소망에서 비롯되는 삶을 통한 성도의 신앙적 성숙을 다루고 있다. 2장에서는 거짓 교사들의 그릇된 삶의 모습과 가르침을 폭로하며 그들을 경계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3장에서는 핍박과 거짓 가르침으로 인해 약해진 신앙을 바로 잡기 위하여 그리스도의 재림의 확실성과 이에 대한 소망의 중요성을 재확인시키고 이에 성도들..

베드로전서 장별 요점정리

베드로전서 장별내용과 요점정리 베드로전서 요약 베드로전서는 네로 황제에 의해 곧 닥치게 될 혹독한 고난에 대비하여 소아시아에 흩어져 있는 여러 성도들에게 보내는 편지이다. 베드로는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의 소망을 지니고 고난 중에서도 인내할 것을 권고하며 격려하기 위해 본서를 기록하였다. 본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얻게 된 구원을 생각하며 고난을 이겨내며, 오히려 그 고난과 시련을 믿음의 진보와 영적 연단의 기회로 삼도록 권면하고 있다. 그리고 고난에 대한 인내뿐 아니라 세상을 살아가는 성도들이 사회와 가정, 그리고 대인 관계 속에서 가져야 할 태도와 의로운 삶의 의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베드로 전서에 나타난 참소망이란 다음과 같다. 하나님의 약속에 근거한 소망, 썩지 않고 더럽지 않고 쇠하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