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973

에베소서 4:25-32

에베소서 4:25-32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마귀에게 틈을 주지 말라(26,27) 세상에는 우리를 화나게 하는 일이 무척 많습니다. 화가 날 땐 화를 내도 괜찮습니다. 분노도 인간의 감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분노는 할 수 있지만 분노의 폭발은 안 됩니다. 분노의 폭발은 분노의 감정을 틈타 자기의 부정적인 감정을 쏟아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경험하는 분노는 대개 분노의 폭발입니다. 분노한 가인은 동생 아벨을 죽이는 살인을 저질렀으며 분노의 마음을 다스리지 못한 모세도 결국 가나안에 들어가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분노로 인해 마귀에게 틈을 주지 마십시다. 주님! 분노날 일이 있더라도 잘 다스리게 하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축복하며 기도합니다 https://youtu..

사무엘상 18장 17-30 간계를 이기는 지혜

오늘의 본문 (쉬운 성경) 사울의 딸과 다윗 17 사울이 다윗에게 말했습니다. “여기에 내 맏딸 메랍이 있다. 내 딸을 너에게 주어 너의 아내로 삼게 해 주겠다. 그 대신 너는 나가서 용감하게 여호와를 위해 싸워라.” 사울은 또 이렇게 마음먹었습니다. ‘다윗이 블레셋 사람들의 손에 죽을 테니, 내가 다윗을 죽일 필요가 없다.’ 18 그러나 다윗이 말했습니다. “이런 대접은 나에게 분에 넘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내 아버지의 집안도 왕의 사위가 되기에는 보잘것 없는 집안입니다.” 19 그러나 사울은 다윗에게 이 년만 전쟁에서 승리하면 사위로 삼겠다고 했습니다. 이 년이 지나 다윗이 사울의 딸 메랍과 결혼할 때가 되었을 때, 사울은 메랍을 다윗 대신에 므홀랏 사람 아드리엘에게 주었습니다. 20 그런데 사울의 ..

복음서를 지도로 보면 예수님이 더 입체적으로 보인다.

1. 예수님 당시의 팔레스타인. 1) 우리가 꼭 먼 곳을 두루 다녀야만 세상에 이름을 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그저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곳에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일을 하기만 하면 된다. 예수님께서는 일평생 고향에서 160km 이상 떨어진 곳에는 가보신 적이 없다. 2) 지명의 변화 대해 -> 지중해 긴네렛 호수 -> 갈릴리 바다(호수) 염해 -> 사해 팔레스타인 남북 측면도 팔레스타인 동서 측면도 이 측면도를 참조하면, 성경 속에 나오는 사람들이 예루살렘을 향해 남쪽이나 서쪽으로 갈 때는 "올라간다"라고 말하고 여리고를 향해 동쪽으로 갈 때는 "내려간다"라고 말한 까닭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2. 지도 그리기 3. 주요 지역들 1) 갈멜산과 갈릴리 바다 사이 => "갈릴리" 2) 사해와 지중..

지도로 보면 구약이 더 입체적으로 보인다

1. 구약과 지도 1) 하나님의 말씀은 2,930개의 인명과 1,551개의 지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2) "기독교 신앙은 역사적이고 지리적이다. 하나님께서는 역사학과 고고학 연구로 검증될 수 있는 인명과 지명으로 성경을 가득 채우셨다." 3) 성경의 지리를 연구하며 성경을 보면, 성경이 더욱 실제적으로 다가온다. (ex, 걸리버 여행기 vs 성경책 지도의 유무) 2. 지도로 보는 구약의 세계 1) 세계 지도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을 확대한 그림이다. 2) 구약 이야기의 지리적 배경이 된 지역은 생각보다 넓지 않다. 창조와 노아의 홍수를 제외한 구약의 모든 사건들이 이 범위 안에서 발생. (단, 요나 선지자가 하나님의 얼굴을 피하여 도망가려 했던 다시스는 이 지도의 범위 밖에 위치한다.) 3) 구약의 ..

역대하 20:31-33

역대하 20:31-33 여호사밧이 그의 아버지 아사의 길로 행하여 돌이켜 떠나지 아니하고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으나 산당만은 철거하지 아니하였으므로(32,33상) 여호사밧은 하나님 앞에서 올바르게 살기는 했지만 온전히 순종하지는 않았습니다. 우상숭배를 위해 산당들을 남겨 놓았던 것입니다. 우리 또한 주님께 모든 것들을 다 내려놓았다고 하면서도 일부는 살짝 남겨 놓습니다. 그것이 곧 하나님보다 더 사랑하는 것이며, 그것이 곧 우상을 숭배하는 ‘산당’입니다. 혹시 나에게 남겨놓은 산당은 없을까요? 끝까지 그것만은 내려놓을 수 없는 것은 무엇일까요? 남아있는 산당을 깨끗이 철거함으로 오직 하나님 아버지만 사랑하고 기뻐하십시다. 주님! 오늘도 예수 뿐인 날이 되게 하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축복하며 기도..

사무엘상 18장 6-16 하나님의 떠나심과 함께하심

오늘의 본문 (쉬운 성경) 사울의 위기 6 다윗이 블레셋 사람 골리앗을 죽인 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돌아올 때, 이스라엘의 온 마을에서 여자들이 사울 왕을 맞이하기 위해 나왔습니다. 여자들은 기쁨의 노래를 부르면서 춤을 추고 소고와 경쇠를 연주했습니다. 7 여자들은 악기를 연주하면서 이렇게 노래했습니다. “사울이 죽인 적은 천천이요, 다윗이 죽인 적은 만만이라네.” 8 여자들의 노래는 사울의 기분을 상하게 만들었습니다. 그는 크게 화가 났습니다. 사울이 생각했습니다. ‘여자들은 다윗이 수만 명을 죽이고, 나는 수천 명밖에 죽이지 않았다고 말하는구나. 이대로 가다가는 다윗이 나라를 차지하고 말겠구나.’ 9 그리하여 사울은 그 날부터 다윗을 경계하는 눈으로 바라보았습니다. 사울은 다윗을 질투했습니다. 10 ..

신약시대를 알아야 은혜를 누린다

신약 성경의 열두 시대. 1. 신약의 세 골격 1) 역사서: 사복음서, 사도행전 (5) 2) 체험서: 로마서 ~ 유다서 (21) 3) 예언서: 요한계시록 (1) => '총 27권' 2. 이야기 보충 1) 사복음서(마태,마가,누가,요한) : 육신을 입고 오신 그리스도에 관해 기록 2) 사도행전 : 교회의 형성과 사도들을 통한 하나님 나라의 확장 3) 편지들(서신서) : 하나님의 백성들을 향한 하나님의 권면, 1051가지의 명령 대다수 수록, 대부분 사도행전 기간에 기록 4) 예언서(계시록) : 5권의 역사서가 주로 과거에 초점, 1권의 예언서는 미래의 초점. 3. 서신서 나누기 1) 바울서신: 바울이 기록, 수신자에 따라 제목이 붙여짐 (처음 13권) 바울의 편지들은 수신자의 이름을 제목으로 삼았다. 2)..

구약시대를 알아야 하나님의 마음이 보인다

구약성경의 12시대 1. 구약 성경의 윤곽 1) 구약 성경의 분량은 신약 성경의 3배. (성전 전체 3/4) 2) 구약의 전반적인 줄거리는 처음 17권을 통해 진행되고, 나머지 22권은 이 줄거리를 보충한다. 3) 에스더에서 마태복음 사이에 삽입된 22권의 책들은 창세기에서 에스더까지의 다양한 시기들을 자세히 설명함. 2. 주제별로 본 구약 성경 1) 5, 5, 5, 역사서 17권 중 처음 5권- "토라","율법서","모세오경" 예언서 17권 중 처음 5권- "대선지서" 시가서 5권- 욥기, 시편, 잠언, 전도서, 아가서 2) 12, 12 모세오경 제외한 12권의 역사서 가운데 처음 9권- 바벨론 포로 이전 대선지서 제외한 12권의 선지서 가운데 처음 9권- 바벨론 포로 이전 18권의 책 "B.B.E"(..

성경 핵심 인물 탐구 : 사라

성경 핵심 인물 탐구 : 사라 우리가 좋은 일을 기대하든 나쁜 일을 기대하든 혹은 미지의 일을 기대하든, 기다림보다 더 힘든 일은 없을 것이다. 오랜 기다림(혹은 짧은 기다림이라도)에 대처하는 한 가지 흔한 방법은, 하나님이 계획을 실행하시도록 돕는 것이다. 사라가 이 방법을 시도했다. 자식을 낳겠다고 기대하기에는 사라의 나이가 너무 많았다. 그래서 그녀는 하나님이 다른 것을 염두에 두신다고 여겼다. 사라의 제한된 시각에서 불 때는 그 시대의 일반적인 관행대로 다른 여자를 통해 아브라함에게 아들을 낳는 것만 가능했다. 이 계획은 해로워 보이지 않았다. 아브라함은 사라의 여종과 동침하고 사라의 여종이 아이를 낳을 것이다. 사라는 그 아이를 자기 아들로 받아들일 것이다. 이 계획은 처음에는 멋지게 작동했다...

성경 핵심 인물 탐구 : 롯

성경 핵심 인물 탐구 : 롯 어떤 사람들은 인생을 그저 표류한다. 의지를 동원하여 선택할 수 있을 때도 그들의 선택은 저항이 가장 적은 길을 따르는 경향이 있다. 아브람의 조카 롯이 그런 사람이었다. 롯은 아직 젊었을 때 아버지를 잃었다. 물론 롯에게 분명 힘든 상황이었겠지만 굳건한 본이 되는 할아버지 데라와 그를 키워 준 삼촌 아브람이 있었다. 그런데도 롯은 할아버지와 삼촌의 목적의식을 발현하지 않았다. 롯은 평생 현재 순간에 매몰되어 자기 행동의 결과를 볼 수 없었던 것 같다. 아브람의 세심한 관심과 하나님의 개입이 없었다면 그의 삶이 어떠했을지 상상하기 어렵다. 롯이 빗나가 표류하자 삶은 추하게 변했다. 자기 시대의 악한 문화를 떠나고 싶지 않을 정도로 그 문화에 융화되었다. 그리고 딸들과 근친상간..